특징

  • Reference to a detached object: 객체의 레퍼런스가 identity를 보장받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 Set Collection에 객체들을 담을 때, 동일한 주키로 읽어들인 Detached 상태의 객체와
    Persistent 상태의 객체는 모두 동일한 레코드를 나타내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전 예제에서 다음의 코드의 결과 Set에는
    하나의 객체만 들어가야 한다.
Set<Member> members = new HashSet<Member>();
members.add(loadedMember1);
members.add(loadedMember2);
members.add(loadedMember3);

assertEquals(1, members.size());
  • 그러나..2개가 들어가있다. loadedMember1과 loadedMember2는 같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으니까, loadedMember2는 추가되지 않고, loadedMember3는 전혀 다른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
    된다.
  • Set에 add()를 할 때, equals()로 비교를 하는데, Object 클래스에서 equals()를 ==으로 구현해 두었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
  • 따라서 위의 결과가 1이 되게 하려면, equals()와 hashCode()를 재정의 해주어야 한다.

equals()와 hashCode() 이해하기

  • Detached 상태의 객체를 Set에 집어넣는 일이 절대로 없다면, 굳이 equals()와 hashCode()를 구현하지 않아도 된다.
  • Conversation 구현 전략으로 Extended Persistence Context를 선택하고 Detached 상태의 객체들을 애플리케이션에 제거하면 된다.
  • 이렇게 하면 당연히 Persistence Context도 Conversation으로 확장되었으니, Scope of Object identity의 범위도 Conversation으로 확장된다.
  • equlas()를 재정의 하면 반드시 hashCode()도 재정의 해야 한다. 왜? 같은 객체들은 반드시 같은 해시코드를 반환해야 하니까.

Data identity 비교하기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ther) {
if (this == other)
return true;
if (id == null)
return false;
if (!(other instanceof Member))
return false;
final Member that = (Member) other;
return this.id.equals(that.getId());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id == null ? System.identityHashCode(this) : id.hashCode();
}
  • 비추하는 방법니다.
  • Transient 객체를 Set에 넣은 다음에, Session.save()를 사용해서 Persistent
    상태로 바꾸면 Set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hashCode 값이 바뀌게 된다. 이것은 Set의 제약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자. 0이라는 hashCode를 가진 녀석이 Set에 들어간 다음에 1로 바꼈다. 그러면 나중에 1이라는
    hashCode를 가진 녀석을 Set에 집어 넣으면 어떻게 될까? 처음에 0을 가지고 있다가 1로 바뀐 녀석은 사라지고, 뒤에
    추가된 객체만 남아있을 것이다.(테스트 코드로 확인해 볼 것.)

주키 속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을 비교하기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ther) {
if (this == other)
return true;
if (!(other instanceof Member))
return false;
final Member that = (Member) other;
if (!this.getName().equals(that.getName()))
return false;
return true;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int result = 14;
result = 29 * result + getName().hashCode();
return result;
}
  • 콜렉션은 비교하지 않는다. 객체 하나의 동일성을 확인하려고 전체 객체 맵을 확인할 필요는 없으니까.
  • 단점1: 같은 레코드를 표현하는 두 개의 객체가 서로 다른 Session에서 존재하다가 누군가 속성을 바꾸면 그 둘은 다른 객체가 되버린다.
  • 단점2: 서로 다른 DB indentity를 가진 객체들이 같은 객체로 취급될 여지가 있다.

비즈니스 키를 사용해서 구현하기

  • business key: 각 개체들마다 유일한 값을 가지는 속성이나 속성들의 집합. natural primary key와 다른 점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 Entity 클래스에는 반드시 business key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그 키가 개체의 모든 속성을 포함하는 것일지라도.(보통 immutable 클래스가 그렇다.)
  • surrogate key가 DB와 application이 사용하는 것이라면, business key는 사용자가 단일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들이다.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ther) {
if (this == other)
return true;
if (!(other instanceof Member))
return false;
final Member that = (Member) other;
if (!this.email.equals(that.getEmail()))
return false;
return true;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email.hashCode();
}
  • 위에서 언급했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 equals() 메소드에서 other객체의 속성에 접근할 때, .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데도 굳이 gette를 사용하는 이유? 프록시 일수도 있기 때문에...

참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