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AspectJ를 이용한 코드젠과 프레임워크에 이어지는 글로 현재는 Service과 Controller까지도 적용을 마치고 실행 후 잘 돌아가는 모습을 살펴보습니다. 지금은 웹 쪽을 REST 스타일로 고칠겸, 새 프로젝트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새로 디자인한 것까지 모두 합치고 있습니다. (역시 적당한 단계별로 해야지 한꺼번에 하려니깐 정신없고 오래 걸리는 듯합니다.)

1. AJ 내에서 코드 젠을 이용하여 상속을 없앨 수 있다.

AJ 코드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ROO가 제공하는 AJ를 스타일대로 작성하면, 상속을 이용하지 않고도 추가 기능을 넣을 수 있다. 장담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상속을 없앤건 좋은 일이라고 생각된다. 프레임워크 코드가 아닌, 비즈니스 도메인에 의한 상속을 사용할 수 있을테니말이다. 하지만, 상속을 포기하고 일일히 다 주입하는 방법을 택하다보니, 비슷한 코드가 여러 AJ에 널려있게 된다. 이 때는 또 한 가지 변수 AJ 파일의 길이를 고려해야 할 것 같다. AJ가 일일히 작성하기에 너무 길다고 생각 된다면, AJ 상속 .. 보다는 AJ에도 Generic을 도입할 수 있다면 편할지 모르겠다. 또한 AJ 작성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할 때 AJ를 코드젠하는 기술은 거의 필수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AJ가 코드젠 없이도 만들만큼 분량이 적다면? 그렇다면 굳이 코드젠 없이 그냥 손수 AJ 파일을 만들어 쓰면 될 것 같다. 하지만 내가 오늘 작업해본 AJ 코드는 일일히 작성하기에는 너무 길었다. 코드젠이 필요하다고 느껴졌다. 

2. 테스트가 필요하다.

코드가 눈에 보이면 고치기도 간편하다. 그래서인지, 왠만큼 돌아갈 것으로 만단되는 코드는 테스트를 잘 하지 않는다. 복잡한 로직이나 확신이 없는 코드에 대한 테스트만 작성하는 편이다. 자신감이라기 보다는 게으름이 맞을 것이다. 아무튼.. 그런데 이 게으름을 부리지 못할 정도로 날 불안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AJ다. 내가 아직 AJ에 익숙하지 않아서 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인지 불안하다. 그래서 인지 테스트가 절실하다.


컨틀로러 코드는 비어있지만, 아래 보시다시피 엄청나게 많은 것들이 추가됐다. 잘 동작하는지 어떻게 확신할 수 있겠는가? 글쎄.. 확신하지 못하겠다. 오랜만에 컨트롤러 테스트를 해보게 생겼다.

가짜 데이터 -> 컨트롤러 메서드 -> 결과 확인

스타일로 해볼 생각이다. 예를 들어, 위에 보이는 것중에 delete(int)가 있다. 가짜 데이터는 int 타입 변수 하나가 될 것이고, 메서드에 넘겨주고, service.delete()가 호출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3. 자동완성과 코드 네비게이션에 대한 대안을 찾았다.

위에 보이는 Cross References 뷰를 이용하는 것이다. Ctrl + 스페이스와 Ctrl + 클릭에 비할바는 못 되지만, 어떤 것들이 주입되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고 클릭을 하면 바로 AJ 파일로 이동해 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 B급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4. 배포는 어떨까?

어제도 포스팅 했지만, 메이븐에서 AJ를 컴파일 하도록 설정해주기만 하면 배포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AJ는 스프링 AOP와 달리 컴파일 시점 위빙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간편한 것 같다. 스프링 AOP처럼 agent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니 얼마나 좋은가. 심지어 메이븐 설정을 스프링 ROO예제에서 그대로 배낄 수도 있다.ㅋㅋ

5. 활용 방법이 여러 가지다.
 
잘 모르겠지만, 기존의 자바 프레임워크는 (이클립스 플러긴 같은 툴은 빼고) 아마도 Generic을 활용한 DAO, Service, Controller 추상 계층과, View 자동 생성 그리고 유틸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주는 것일 것이다. 여기에 AspectJ 활용을 극대화 하여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방법이 몇 가지 있겠다.

a. 기존 프레임워크에 AJ 파일 소수(하나 내지 두개)를 추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생성되는 코드를 깔끔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b. 스프링 ROO처럼 기존에 Generic 클래스 상속으로 제공하던 기능들을 일일히 AJ로 주입해주는 것이다.
c. 위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하는 것이다.

이 셋의 차이점은 좀 더 코딩하면서 느껴봐야 확실해 지겠지만, 지금까지 느낀점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이렇다.

a: AJ 코드량과 생성된 코드량이 모두 적다. 생성된 코드가 POJO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이전과 동일하다.(extends Generic머시기..) 코드젠이 필요없거나, 간단한 코드젠이 필요하다.

b: AJ 코드량이 엄청 많지만, 생성된 코드량은 적다. 생성된 코드는 POJO에 가깝다. 다소 복잡한 코드젠이 필요할 수 있다. AJ가 커서 여러 AJ로 나누는 것이 깔끔해 보일 수 있다.(스프링 ROO) 중요 로직이 눈에 확 띈다.

c: a방법을 사용하는 AJ와 b방법을 사용하는 AJ를 분리하는게 좋다. 결국엔 코드젠이 필요하다.

오늘의 결론

어떻게 하나 결국에 생성되는 코드는 (실제 그런지 어떤지를 떠나서) 깔끔해 보이기 때문에 핵심 로직은 눈에 확 들어 올 듯 하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 드는 노고를 생각해보면... 이걸 내가 꼭... 해야되는건가.. 싶기도 하다. 특히 a 방법을 쓸꺼라면.. 그냥 겉치례에 불과하다고 느껴진다. 그럴바엔 그냥 기존 방식을 쓰는게 나아보인다. 많은 노고를 들여서 b 방법으로 개발해 낸다면.. 멋질 것이다. 스프링 ROO 처럼 말이다. 단, 스프링 ROO는 DDD 다른 또 다른 학습 부담이 있어서 망설여지지, 그렇지 않고 기존의 계층형 아키텍처 스타일로 b 형태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면, 어떨까?? OSAF-ROO가 되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