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by's 스프링 AOP 등장 배경을 읽으며...
이번 기회에 스프링 AOP를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하고 있다. 지금은 일단 스프링 AOP의 용어나 기능보다는 그 근본이 되는 ProxyFactoryBean의 유용함, 등장 배경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지만 도무지 레퍼런스에서는 이런 내용을 습득할 수 없었다. 빨간책(몇번째 시리즈인지는 까먹음. with Spring이던가..)에서는 언급이 되어 있지만 왠지 어렵고 잘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 등장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만큼 간단한 절차가 아니기 때문이다. 조금 길다 싶을 정도로 여러 단계의 정제 과정을 걸치게 된다. 그 과정 하나 하나에 문제, 해결책, 장점, 단점 또 그 단점을 극복하는 해결책 그 결과의 장점과 단점. 다시 또 그 단점을 극복하는 .. 이런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가다가 결국에 스프링 AOP의 핵심 요소들이 등장하게 된다.
마침내 어드바이스, 포인트컷, 어드바이져, 포인트컷 표현식등 AOP 용어가 들려오더라도 전혀 당황스럽지 않다. 그 용어들의 느낌과 개념이 자연스럽게 이해된다. 어드바이스는 머다. 포인트컷은 머다. 라는 식으로 AOP 무식하게 학습했던 과거가 부끄럽게 느껴진다. 이런 학습방법으로 접근했다면 천천히 가는 것처럼 느껴졌겠지만 오히려 더 확실하게 개념을 익힐 수 있었을텐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이 부분에서 꼭 집중해서 살펴봐야 할 부분이 있다면 BeanPostProcessor가 언급된 부분이다. 그 부분을 자세히 읽으면 AOP 적용시 흔히 실수하는 상황을 잘 캐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빈 설정을 잘못해서 AOP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지 그 이유와 원인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스프링 AOP에 대한 내용을 읽어야 하는데 시간이 늦어서 집에가서 봐야겠다..
그 작업을 target으로 집안청소 Advice와 퇴근 후 일정 Pointcut을 조합한 Advisor를 감지하여 프록시를 만들어 주는 DefaultAdvisorAutoProxyCreator를 설정해야겠다.